공인 IP와 사설 IP, 뭐가 다를까?
인터넷을 사용하다 보면 "공인 IP"와 "사설 IP"라는 말을 한 번쯤 들어봤을 거예요.
특히, 네트워크를 설정하거나 VPN을 사용할 때 이 개념이 자주 등장합니다.
오늘은 이 둘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각각 어떤 역할을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공인 IP란? (Public IP)
공인 IP는 전 세계적으로 유일한 IP 주소입니다. 이 IP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에서 사용자에게 할당하며, 인터넷에 직접 연결된 모든 기기는 공인 IP를 가질 수 있어요.
📌 공인 IP의 특징
✅ 고유성: 같은 공인 IP는 두 개 이상 존재 X
✅ 인터넷 접근 가능: 인터넷 상의 다른 기기들이 공인 IP를 통해 해당 기기와 직접 통신
✅ ISP에서 할당: 인터넷 서비스 업체(SK, KT, LG U+ 등)가 사용자에게 공인 IP를 부여
✅ 공유 가능: 하나의 공인 IP를 여러 기기가 공유할 수 있음 (예: 공유기를 통해 여러 기기가 하나의 공인 IP를 사용).
📌 공인 IP 예시
예를 들어, 여러분이 사용 중인 스마트폰이나 PC에서 "내 IP 확인"을 검색하면 나오는 IP 주소가 공인 IP입니다.
보통 203.0.113.1 같은 형식으로 표시될겁니다.
📌 공인 IP의 활용
✔️ 서버 운영 (웹 서버, 게임 서버 등)
✔️ 원격 접속 (VPN, 원격 데스크톱)
✔️ 고정 IP 서비스 (IP 기반의 인증 시스템)
하지만 공인 IP는 해킹 등의 보안 위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방화벽 설정과 보안 패치가 중요합니다.
2. 사설 IP란? (Private IP)
사설 IP는 내부 네트워크(집, 회사, 학교 등)에서만 사용되는 IP 주소입니다. 외부 인터넷에서는 사설 IP를 직접 인식할 수 없습니다.
📌 사설 IP의 특징
✅ 범위가 정해져 있음: 사설 IP는 아래 3가지 범위 안에서만 사용됩니다.
- 10.0.0.0 ~ 10.255.255.255
- 172.16.0.0 ~ 172.31.255.255
- 192.168.0.0 ~ 192.168.255.255
✅ 중복 사용 가능: 여러 네트워크에서 같은 사설 IP를 사용해도 충돌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 인터넷 직접 접속 불가: 사설 IP만으로는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으며, 공유기(NAT) 또는 프록시 서버를 통해 공인 IP로 변환해야 합니다.
✅ 내부 통신 전용: 같은 네트워크 안에 있는 기기들끼리만 통신이 가능합니다.
📌 사설 IP 예시
- 집에서 Wi-Fi를 사용할 때, 공유기에서 할당받는 IP (예: 192.168.0.1)
- 회사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IP (예: 10.10.10.5)
📌 사설 IP의 활용
✔️ 가정용 Wi-Fi 네트워크
✔️ 기업 내부 네트워크
✔️ IoT 기기 연결
3. 공인 IP vs. 사설 IP 비교
구분공인 IP사설 IP
사용 범위 | 전 세계 | 내부 네트워크 |
고유성 | 유일한 IP | 중복 가능 |
인터넷 접근 | 직접 가능 | 공유기(NAT) 필요 |
보안성 | 해킹 위험 있음 | 상대적으로 안전 |
예시 | 203.0.113.1 | 192.168.1.100 |
4.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란?
그렇다면, 어떻게 사설 IP를 사용하는 기기들이 인터넷(공인 IP)과 연결될 수 있을까요?
바로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덕분입니다.
공유기는 내부 네트워크(사설 IP)를 관리하면서, 외부 인터넷에 접속할 때 공인 IP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덕분에 여러 기기가 하나의 공인 IP를 공유할 수 있죠.
5. NAT의 역할
✔️ IP 주소 절약: IPv4 주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하나의 공인 IP를 여러 기기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 보안 강화: 외부에서 사설 IP를 직접 접근할 수 없도록 보호합니다.
< 정리하자면 >
- 공인 IP는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는 IP 주소로, 전 세계에서 고유합니다.
- 사설 IP는 내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되며, 외부와 통신하려면 NAT가 필요합니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502 Bad Gateway 오류란? (원인과 해결 방법) (0) | 2025.03.17 |
---|---|
[Network] GET, POST 정의 및 특징 (0) | 2024.02.29 |
[Network] GET, POST 정의 및 특징 (0) | 2024.02.21 |
[Network] telnet, ipconfig 안 될 때(telnet client) (0) | 2023.06.23 |
3. 네트워크의 공통 언어 TCP/IP (네트워크의 공동 규칙).Chapter_3 (0) | 2022.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