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Network (8)
JongTachi의 개발 블로그
GET 과 POST 는 HTTP 메서드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무언가를 요청할 때 사용합니다. 각각 정의와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1. GET 정의 GET 메서드는 웹 서버로부터 정보를 요청할 때 사용됩니다. 이 메서드는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는 요청을 보내며, 주로 웹 페이지의 내용을 요청하거나 검색을 수행할 때 사용됩니다. 특징 1. **데이터 전송 방식**: GET 요청은 URL에 데이터를 첨부하여 전송합니다. 따라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URL의 일부로 노출되어 보안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2. **캐싱**: GET 요청은 응답이 캐싱될 수 있어, 동일한 요청이 여러 번 발생할 경우 이전에 받았던 응답을 재사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3. **무상태(Stateless)**: GET 요청..
GET 과 POST 는 HTTP 메서드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무언가를 요청할 때 사용합니다. 각각 정의와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1. GET 정의 GET 메서드는 웹 서버로부터 정보를 요청할 때 사용됩니다. 이 메서드는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는 요청을 보내며, 주로 웹 페이지의 내용을 요청하거나 검색을 수행할 때 사용됩니다. 특징 1. **데이터 전송 방식**: GET 요청은 URL에 데이터를 첨부하여 전송합니다. 따라서 전송되는 데이터는 URL의 일부로 노출되어 보안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2. **캐싱**: GET 요청은 응답이 캐싱될 수 있어, 동일한 요청이 여러 번 발생할 경우 이전에 받았던 응답을 재사용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3. **무상태(Stateless)**: GET 요청..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JeEMh/btskTH8NdOe/r3CrZdqSYQRYSlK0lSxTM1/img.png)
내부망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데 통신 상태를 보려고 cmd에 들어가 telnet을 쳤는데.. "'telnet'은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배치 파일이 아닙니다"라고 뜨더라구요. 몇가지 이유가 있을텐데 차근차근 따라해보세요. 1. Windows에는 Telnet 클라이언트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과거의 Windows 버전에서는 기본적으로 Telnet 클라이언트가 포함되어 있었지만, 최신 버전의 Windows에서는 Telnet 클라이언트가 기본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보안상의 이유로 인해 발생한 변경 사항입니다. 다운로드 되어있지 않다면 Windows 기능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1)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및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 및 기능"을 연다 2) "Windo..
3-17 포트 번호로 애플리케이션에 할당한다. 1) 포트 번호의 역할 호스트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를 배분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포트번호란 TCP/IP의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식별 번호로, 이 뒤에 설명할 TCP 또는 UDP 헤더에 지정한다. 포트 번호는 16비트 수치이고 지정 범위는 0~65535이다. 명칭 포트 번호 범위 의미 웰노운 포트 0~1023 서버 애플리케이션용으로 예약된 포트번호 등록된 포트 1024 ~ 49151 자주 이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서버 쪽 포트번호 동적/사설 포트 49152 ~ 65535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용 포트번호 2) 웰노운 포트 번호로 웹브라우저의 요청을 기다린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웰노운 포트 번호이다. 웰노운 ..
3-9 목적지는 하나? 아니면 여러 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소의 차이 IP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목적지가 하나든 여러개든 상관없다. 목적지가 1개인지, 그렇지 않으면 여러 개인지에 따라 데이터 전송 방식을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유니캐스트 한 곳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유니캐스트라 한다. 유니캐스트 데이터 전송에는 목적지 호스트의 유니캐스트 IP주소를 IP헤더으 목적지 IP 주소로 지정한다. 완전히 같은 데이터를 복수의 주소로 전송하고 싶을 때는 출발지에서 목적지 수만큼 유니캐스트 데이터 전송을 반복하면 되지만, 효율이 좋지않다. 그래서 완전히 같은 데이터를 복수의 주소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트와 멀티캐스트를 사용한다. 2) 브로드캐스트 브로드캐스트란 같은 네트워크 상의 모..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qAnW/btrC0P1Yexm/Q6ZtVKfuU8X2rshq4KbQy1/img.png)
3-1 네트워크의 공통언어 1) PC도 스마트폰도 서버도 전부 다 TCP/IP를 사용한다. 1장에서 배웠다 싶이 PC와 스마트폰 등이 통신하는 규칙을 프로토콜이라 하고, 복수의 프로토콜을 조합한 것이 네트워크 아키텍처이다. 예전에는 TCP/IP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있었지만 지금은 거의 TCP와 IP만 이용한다. TCP/IP로 통신하는 PC와 스마트폰, 각종 네트워크 기기 전반을 호스트라고 부른다. 2) TCP/IP의 계층구조 TCP/IP의 계층구조 다음과 같다. 애플리케이션층 (최상위층): 애플리케이션에서 다룰 데이터 형식과 절차를 결정한다. 트랜스포트층: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할당한다. 인터넷층: 엔드투엔드 통신을 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층 (최하위층): 프로토콜은 자유롭게 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EhoVf/btrCkgMKfW9/q8PKJhu8Hy7OZPdGOOrJi1/img.png)
2-1 네트워크의 규모는 각가 다르다. 1) 네트워크를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네트워크는 다양한 네트워크 기기와 PC, 서버 등을 케이블로 연결해서 구성된다. 문서 등에는 네트워크를 간단히 나타내고자 대부분 구름 모양의 클라우드 아이콘으로 기재한다. 2) 네트워크라고 해도 규모는 제 각각 같은 클라우드 아이콘이라도 앞뒤 문맥에 따라 클라우드 아이콘이 가르키는 네트워크 규모가 다르다. 2-2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 1) 기본적인 네트워크 기기 라우터 레이어2 스위치 레이어3 스위치 이 기기는 모두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 전송처리는 3단계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수신 : 전기신호 등 물리적 시놓로 변환된 데이터를 운래 디지털 신호(0, 1)로 돌린다 데이터를 보낼 곳을 결정 : 데이터에 부가된 제어 정보를..
1-1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는 넓은 의미에서 물류, 교통, 인맥등도 포함된다. 즉 그물처럼 구성된 시스템을 나타내는 말이 네트워크이다. 그중에서 컴퓨터 네트워크는 pc나 SmartPhone과 같은 기기를 서로 연결해서 만들어진다. 우리는 컴퓨터 네트워크 덕분에 다른 사람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위에서 말했듯이 네트워크 덕분에 우리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를 주고받는 행위 자체는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목적이 아니라 수단에 지나지 않는다. 그럼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목적은 무엇일까??? 1) 정보 수집 2) 문서 파일 등 공유 3)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4) 출장 신청이나 정산 등의 회사 업무 처리 등 이 밖에도 다양한 목적으로 매 순간 네트워크가 이용된다. 1-2 누가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