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svn
- DBeaver
- Server
- 자바문법
- java
- 자바
- 오라클
- IntelliJ
- 자바스크립트
- db
- mybatis
- 상태코드
- 톰캣
- Eclipse
- Linux
- HTTP
- 이클립스
- 보안
- Redis
- Javascript
- JQuery
- git
- 인텔리제이
- oracle
- 디비버
- Tomcat
- SQL
- JSON
- 마이바티스
- 모바텀
- Today
- Total
JongTachi의 개발 블로그
2.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 본문
2-1 네트워크의 규모는 각가 다르다.
1) 네트워크를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네트워크는 다양한 네트워크 기기와 PC, 서버 등을 케이블로 연결해서 구성된다. 문서 등에는 네트워크를 간단히 나타내고자 대부분 구름 모양의 클라우드 아이콘으로 기재한다.
2) 네트워크라고 해도 규모는 제 각각
같은 클라우드 아이콘이라도 앞뒤 문맥에 따라 클라우드 아이콘이 가르키는 네트워크 규모가 다르다.
2-2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
1) 기본적인 네트워크 기기
- 라우터
- 레이어2 스위치
- 레이어3 스위치
이 기기는 모두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 전송처리는 3단계로 이루어진다.
- 데이터 수신 : 전기신호 등 물리적 시놓로 변환된 데이터를 운래 디지털 신호(0, 1)로 돌린다
- 데이터를 보낼 곳을 결정 : 데이터에 부가된 제어 정보를 참조하여 전송할 곳을 결정
- 데이터 전송 : 데이터를 물리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내보낸다. 필요시 제어 정보 수정
2-3 네트워크의 구체적인 구성
1) 구성
-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기기끼리나 PC, 서버 등을 연결하기 위해 각각의 기기에는 인터페이스가 있다.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이더넷 인터페이스이다. 인터페이스는 종조오 포트라고도 불리는데 인터페이스나 포트를 같은 의미로 생각하면 된다. 이더넷 인터페이스는 이더넷 포트나 LAN포트로도 불린다.
- 전송 매체와 링크
각 기기에 달린 인터페이스끼리 연결(링크)한다. 인터페이스를 서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전송 매체라고 한다. 데이터를 변환한 전기신호 등 물리적인 신호가 전송 매체를 통해 전달된다.
전송 매체는 유선 뿐만아니라 WI-FI같은 무선 링크도 있다.
2) 인터페이스의 경계는?
인터페이스는 '경계'라는 의미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0, 1의 디지털 데이터와 전기신호와 같은 물리적 신호의 경계이다. PC와 스마트폰 등 네트워크 기기가 다루는 0, 1의 디지털 데이터는 전기신호 등 물리적 신호로 변환되어 인터페이스에서 송출되고 링크로 전달되어 간다.
2-4 네트워크를 만든다.
1) LAN의 주요 기술
1장에서 설명했듯이 LAN은 사용자가 직접 만드는 네트워크이다. 현재, LAN을 구축하는 주요기술은 이더넷, 무선 LAN(Wi-Fi)이다.
2) LAN의 구축
사용자가 직접 LAN을 구축하려면 이더넷 인터페이스가 있는 라우터와 레이어2, 레이어3 스위치 등의 네트워크 기기를 준비해야 한다. 준비된 기기들의 인터페이스를 LAN 케이블로 연결해 가면, 기기 사이에 링크가 구성되고 LAN이 만들어진다. 즉 연결된 네트워크는 유선 LAN이 되는 것이다.
무선 LAN을 사용하려면 네트워크기기인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LAN 인터페이스가 있는 PC나 스마트폰 등을 준비해야한다. 노트북 PC나 스마트폰은 대부분 무선 LAN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무선 LAN과 유선 LAN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2-5 어떤 네트워크를 만들고 싶은가?
1) 네트워크 설계 프로세스
단순히 인터페이스끼리 연결해봤자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는 없다. 가정 네트워크 정도의 소규모 네트워크라면 그때그때 만들 수 있지만, 기업 네트워크에서는 그럴 수 없다. 미리 어떤 네트워크를 만들고 싶은지 생각할 필요가 있고, 이것을 구상하는 것을 네트워크 설계라고 부른다. 네트워크는 크게 네 가지 단계로 나뉜다.
- 요건정의: 가장 중요한 것은 요건정의 프로세스이다. 사용자의 네트워크 이용 목적을 조사하여 어떤 어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가 어느 정도 발생하고, 어떻게 전송해야 하는지 등 네트워크에 필요한 기능과 성능을 명확히 한다.
- 설계: 요건을 구체적인 네트워크 구성으로 구현하는 것이 좁은 의미에서의 설계이다. 제대로 설계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의 구조를 이해하고 있지 않으면 이야기가 되지 않는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기도 결정해야 해서 네트워크 기기의 제품 지식도 필요하다.
- 구축: 설계에서 결정한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네트워크 기기 배치와 배선, 설정을 하고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한다.
- 운용관리: 매일 네트워크 기기의 상태를 점검한다. 문제가 일어나면 원인을 파악하고 복구해서 정상 동작하도록 관리한다.
프로세스 | 개요 |
요건정의 | 네트워크에 필요한 기능과 성능을 명확히 한다. |
설계 | 요건정의에서 결정한 요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결정한다. |
구축 | 설계한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기기의 배치, 배선, 필요한 설정을 한다. |
운용관리 | 네트워크가 정상으로 동작하도록 점검한다. 문제가 있으면 원인을 파악해 복구한다. |
2-6 네트워크 구성을 파악하자
1) 네트워크 구성도의 종류
네트워크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구성을 파악해 두는 것이 대전제이다. 설계할 때, 네트워크 구성도인 '논리구성도'와 '물리구성도'를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두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2)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나타내는 논리구성도
논리구성도를 이용해 네트워크끼리 어떻게 연결되는지 나타낸다. 기술적인 관점에서 하나의 네트워크는 라우터 또는 레이어3 스위치로 구분된다. 그리고 라우터와 레이어3 스위치는 복수의 네트워크를 연결한다. 논리구성도의 핵심은 몇 개의 네트워크가 어느 라우터와 레이어3 스위치로 연결되는지 파악하기 쉽게 정리하는 것이다.
3) 기기의 배치와 배선을 나타내는 물리구성도
물리구성도를 이용해 각 기기의 물리적인 배치와 각 기기의 인터페이스가 어떻게 연결되어있는지 나타낸다.
물리구성도의 핵심은 어느 기기의 어느 인터페이스가 어떠한 케이블로 배선되는지 파악하기 쉽게 정리하는 것이다.
4) 물리구성도와 논리구성도의 대응(즉 상황에 따라 구성도가 다르다)
하나의 물리구성도에 대응하는 논리구성도가 하나뿐이라고는 단정할 수 없다. 네트워크 기기 설정에 따라, 같은 물리구성도에 대응하는 논리구성도가 몇가지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telnet, ipconfig 안 될 때(telnet client) (0) | 2023.06.23 |
---|---|
3. 네트워크의 공통 언어 TCP/IP (네트워크의 공동 규칙).Chapter_3 (0) | 2022.11.14 |
3. 네트워크의 공통 언어 TCP/IP (네트워크의 공동 규칙).Chapter_2 (0) | 2022.06.04 |
3. 네트워크의 공통 언어 TCP/IP (네트워크의 공동 규칙).Chapter_1 (0) | 2022.05.24 |
1. Network의 기본 (0) | 2022.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