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 정적 서버와 동적 서버
·
Server/Web
웹사이트를 만들거나 서버를 운영하려는 사람이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정적 서버'와 '동적 서버'.하지만 이 두 개념이 정확히 어떤 차이가 있고, 어떤 상황에서 어떤 서버를 선택해야 할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정적 서버와 동적 서버의 개념부터 실제 사용 예시, 장단점까지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정적 서버(Static Server)란?정적 서버는 말 그대로 변하지 않는(Static) 콘텐츠를 제공합니다.HTML, CSS, JavaScript, 이미지 등과 같이 파일이 서버에 그대로 저장되어 있고,사용자가 요청하면 해당 파일을 그대로 전달해주는 구조입니다. 1) 예시 HTML 파일을 직접 만들어서 index.html로 저장해둔 후, 사용자가 접속하면 그대로 보여주는 방식 2) 종류Ap..
[Server] 웹(Web)과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의 특징 및 차이
·
Server
오늘은 웹(Web)과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에 대한 특징과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Web웹은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공유하고 검색할 수 있는 전 세계적인 정보 공간을 말합니다.웹은 HTTP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사용자)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습니다. 웹의 중요한 특징은 정적인 콘텐츠(HTML, CSS, 이미지 등)를 제공하는 서버라는 것입니다.단순하게 저장된 웹 리소스들을 클라이언트로 전달하고 혹은 클라이언트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저장하거나 처리하죠. 대표적인 웹 서버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Apache, Nginx, IIS 그럼 동적인 요청이 들어왔을 땐 어떻게 대처할까요??  이때 WAS가 등장합니다. 2. WASWAS 서버는 동적인 컨텐츠를..
Cookie, Session 특징 및 차이점
·
JSP
1. Cookie 인터넷을 사용하다 보면 처음 방문라는 웹사이트에서 '쿠키 수집에 동의하십시오' 같은 문구가 뜰 때가 있습니다. 이때 이 쿠키가 뭘까? 왜 쿠키라 하는 것이고, 사이트에 접속할 때 쿠키를 허용하라는 문구가 뜨는 것 일까?? 궁금할 때가 있을 겁니다. 1) 설명에 앞서 인터넷에서 보는 쿠키란? 인터넷 웹사이트의 방문 기록을 남겨 사용자와 웹사이트 사이를 매개해 주는 정보입니다. 일단 쿠키는 애초 인터넷 사용자들의 홈페이지 접속을 돕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특정 사이트를 처음 방문하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기록한 쿠키가 만들어지고 다음에 접속했을 때 별도의 절차 없이 사이트에 빠르게 연결할 수 있습니다. 처음 알게되신 분들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기록한 쿠키가 만들어 진다는 게 무슨 소리야?? ..